관리 메뉴

너와 나의 추억 여행 ♥

[문제해결 #5] 사고 업무의 분류와 프로세스 본문

★ 사소한 이야기/궁그미 정보&사용리뷰

[문제해결 #5] 사고 업무의 분류와 프로세스

혜진냥 2011. 10. 9. 11:16
반응형
(출처: 삼성에듀)
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 
: 어떤문제인가? 어느것부터 처리해야 할 것인가?
1.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려면? 
- 문제의 소재와 본질 파악 -> 개별적, 구체적 부분으로 분해 -> 우선순위 설정, 평가 -> 어떤프로세스로 처리할 것인가 결론
2. 문제와 과제를 구별한다. 
- 과제 : 문제 해결을 전개하는 프로세스에서 분석, 행동과 연결될 수 있는 발상,표현, 또는 기술.
- 문제 : 어떤 대응을 요구 받는 상황 (수동적)
3. 구체적인 과제가 있어야 구체적인 대책이 선다.
: 현장과 보다 가까운 곳에서 구체적인 과제로 분해, 분석하는 것의 중요성!!
4. 우선순위란 무엇인가? 

- 우선순위의 기준 파악 (얼마나 중요한것인가? 이걸 조금 더 늦게 할 경우?)
- 효율적으로 우선순위 정하기 (앞으로 착수하게 될 모든 과제 글로 써보기! 기록기록.) 

문제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방법
: 왜 문제가 발생했는가? 어떻게 대처해야하는가? 
1. 원인을 규명하는 방법
- 원인을 효율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익혀라.
2. 원은일 규명하려면 정보가 필요하다! 
- 과거 경험 또는 사례를 참고하여 가설을 세움. 
3. 네가지 차원에서 정보를 수집한다.
- 무엇이, 어디서, 언제, 어느정도

설득력 있는 의사결정 능력
: 어느것이 최선의 선택인가? 분석적 접근에 의한 '의사결정'
1. 의사결정이란 무엇인가?
- 어떤 일에 대한 결정, 최악의 사태에 대한 각오, 결심.
- Decision Making : 분석하여 선정한다. 선택한다.
- 복수 선택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선정(선택)하는 행위
2. 의사결정과 상품선택은 다르다.
- 의사결정 : 분석적인 접근 방식으로 선정
- 상품선택 : 과거의 경험 + 주어진 정보
3.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 분명히 한다. (의사결정의 4단계) 
: · 결정해야 할 상황 파악
  · 몇 가지 안건 책정
  · 각각 안건 평가
  · 선택, 결정.
4. 선정기준을 확립한다.
- 각각 안건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, 목표 : 선정기준
- 여러가지 선정기준(평가기준) 확립, 시행 : 필요성

 빈틈없는 리스크 대응력
: 환경 변화를 포함하여 장래의 위험이나 불안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? 
1. 리스크에 대한 분석대상을 분명히 한다. 
- 대상이나 현상을 분명히 밝힌다.
(리스크 대상, 범위 → 실시계획 확인 → 중대 영역 확인 → 장래 문제 가정/평가 → 원인상정 → 예방대책 설정 → 대책 설정 → 종합평가 → 실행/관리)
2. 리스크의 두가지 측면과 대책
- 측면 : 리스크 발행할 가능성이 높아? 낮아?  VS  리스크 발생하면 영향력은? 
- 대책 : 발생 가능성 낮추는 대책  VS  발생했을 때 영향 최소화하는 대책 


반응형
Comments